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지역혁신 플랫폼' 지역과 지방대학 살린다!

기사승인 2020.03.26  16:23:57

공유
default_news_ad1

- 교육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계획 확정 발표

▲ 수도권 인구집중과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에 처한 지역과 지방대를 살리는 지역혁신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교육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수도권 인구집중과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에 처한 지역과 지방대를 살리는 지역혁신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올 7월 선정될 총 3곳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에는 국고 1,080억원이 지원된다.

교육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이하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이번 사업 기본계획은 지난 1월 20일 사업 주요사항 발표 이후 지자체·대학·지역혁신기관 및 관계 부처 등의 의견 수렴을 거쳐 확정된 것이다.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은 ▲지자체, 대학 및 다양한 지역혁신기관들이 플랫폼(대학과 연계된 지역혁신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지역 내 다각적 협업의 장) 구축 ▲지역 중장기 발전을 위한 핵심 분야 선정 ▲'지역 내 대학'들이 핵심 분야와 연계해 교육체계 개편 ▲지역혁신기관과 협업해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비수도권 3개 지역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으로 국고 1,080억원이 지원된다.

총 사업비(국고+지방비)의 30% 이상은 지방비에서 대응 투자된다. 

지역혁신 사업 신청 예비 접수는 4월 27일, 사업계획서 접수마감은 6월 5일이며, 최종 평가결과는 7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최근 코로나19 대응 등 지역이 처한 상황을 고려해 사업종료 시기는 기존 2021년 2월에서 2021년 5월로 늘렸다.

교육부는 사업 참여를 준비 중인 지역을 대상으로 오는 5월 초에 사전컨설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이하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은 대학이 갖고 있는 인적·물적 자원 및 교육·연구·지역밀착 기능을 지역수요와 부합하는 방향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대학이 지역의 경제·산업·사회·문화 발전의 원동력이 돼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번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을 통해 대학이 지역 내 다양한 혁신기관과 협업해 자율적 지역혁신을 선도하고 '지역대학·지역수요 연계→우수 지역인재 육성→지역 경쟁력 제고→지역 정주여건 개선→지역발전'이라는 선순환 구조 구축의 주체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은 대학과 연계된 지역혁신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지역 내 다각적 '협업의 장(場)'이다. 

플랫폼의 주요한 특징은 개방과 참여, 공유와 연계, 성과와 지속가능성이다.

플랫폼은 지역혁신 전략의 제시, 아이디어·기술의 융·복합 촉진, 자원과 정보의 공유, 주체 간 협업·사업 간 연계를 지원하게 된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은 크게 지자체, 대학, 지역혁신기관으로 구성된다.

이중 지자체는 비수도권 광역시·도로, 단일형의 경우 1개의 '광역시' 또는 '도' 단독, 복수형의 경우 '도'와 그로부터 분리돼 나온 '광역시'의 연합 또는 하나의 '도'로부터 분리돼 나온 '광역시' 간 연합이다. 

대학은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및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결과 '재정지원제한대학'과 '진단 미참여대학'을 제외한 모든 학교가 참여 가능하다. 

그밖의 지역혁신기관은 기업, 연구소, 상공회의소, 교육청, 학교, 테크노파크, 창조경제혁신센터, 지구·특구·단지 관리기관 등이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운영조직은 심의·의결기구인 '지역협업위원회', 기획·집행기구인 '총괄운영센터, 대학교육혁신본부 및 분야별 팀'으로 구성된다. 

기본계획은 지난 1월 발표된 계획안과 비교해 '지자체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가 사업의 성공을 위한 핵심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자체장은 대학부문을 대표하는 총괄대학의 장과 함께 사업의 주요사항을 결정하는 '지역협업위원회'의 공동 위원장으로서 지역혁신기관 간 협업을 주도하도록 했다.

또한 각 핵심분야별로 담당 지자체 부서를 지정해 해당 핵심분야를 주관하는 중심대학과 함께 과제 추진을 총괄하도록 하였다.

기본계획은 플랫폼에서 추진되는 활동의 유기적 연계도 강조했다.

그간 분절적으로 추진되던 다양한 대학 관련 사업들을 'DB화'해 총괄·관리하고 사업 간 연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총괄운영센터의 주요 기능으로 안내하고 있다.

핵심분야 내에서 '대학교육혁신과 협업과제 간 연계'를 추진하는 한편 '핵심분야 간 연계'를 통한 상승효과 창출도 고려하도록 했다.

또한 '대학의 교육혁신'은 대학 간 역할분담을 바탕으로 지역혁신과 연계하여 추진되어야 하며, 각 대학 내에서도 단과대학이나 학과별 분절적, 단편적 관점이 아닌 통합적 관점에서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지역혁신주체의 폭넓은 참여와 협력을 위해 대학 뿐 아니라 기업, 연구소, 상공회의소, 교육청, 학교, 테크노파크, 창조경제혁신센터, 지구‧특구‧단지 관리 기관 등 다양한 지역혁신기관이 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대학 외 기관도 과제를 주관할 수 있도록 해 과제 성격에 가장 적합한 기관이 사업을 주도·참여하도록 했다.

충청비즈 thecm11@naver.com

<저작권자 © 충청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